경영책략으로서의 능력주의적 인사관리의 문제: 직능자격제도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2:21
본문
Download : 직능자격제.hwp
설명
4.능력주의에 대한 대응대안
순서
(1).논의의배경
1.문제의제기
2.능력주의적인사관리제도로서의 직능자격제도 :日本(일본)을중심으로
(2).도입움직임검토
Download : 직능자격제.hwp( 52 )
직능자격제도 능력주의 인사관리 직능자격 / ()
다. ‘기업文化의 강화’, ‘日本(일본)식 경영기법의 도입’, ‘자동화 합리화를 통한 인력절감’, ‘인사노무관리 조직의 강화’ 등이 87년 이후부터 경영戰略 차원에서 모색되기 스타트하면서 한국의 대기업에서는 87년 이전의 작업장 통제의 한계를 벗어난 새로운 경영戰略들이 드러나기 스타트하였다. 80년대 중반 이후 한국 대기업에서의 내부노동시장의 성격변화에 마주향하여 는, 박준성 (1990); 박박준식 (1991) 참조. 특히 제조업의 대기업들의 경우 노조의 결성은 임금구조, 직제, 인력의 흐름, 그리고 노동통제 등 인사노무관리 체제 전반의 재구성을 요구하는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하였다.





3.한국기업에서의 도입시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8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대기업에서는 기업조직의 급속한 성장이 정체, 내지는 안정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기업내 노동시장과 인력구조에 커다란 변화가 나타났다. 능력주의적 인사관리와 직능자격제도와 관련하여 국내에 소개된 문헌들로는, 박준성, 앞의 책; 안희탁, 󰡔한국기업의 인사평가제도󰡕 (한국경영자총협회, 1990); 楠田 丘, 󰡔직능자격제도: 그 설계와 운용󰡕 (日本(일본)산업노동조사소 편, 한국공업표준협회 역, 1990); 吉川榮日, 󰡔인재의 육성과 활용󰡕 (서울: 교보문고, 1991) 참조. 능력주의적 인사관리는 단순히 몇 가지 제도적 장치들의 도입을 넘어서 인사노무관리 체제 전반의 재편을 겨냥한 장기적인 경영戰略 차원에서 주요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도입이 모색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노조의 결성으로 인한 권위적 단순통제 체제의 붕괴, 기업조직의 성장정체로 야기된 인사노무관리 체제의 동요로 인해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경영戰略의 피료썽이 전면적으로 제기되기 스타트한 것이다.
직능자격제도 능력주의 인사관리 직능자격
직능자격제도 능력주의 인사관리 직능자격 / ()
경영책략으로서의 능력주의적 인사관리의 문제: 직능자격제도를 중심으로
(2).日本(일본)의적용과정
(1).직능자격제도의定義(정이)
이와 같은 기업의 새로운 경영戰略들 중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이른바 ‘능력주의적 인사노무관리 체제’의 도입 움직임이며, 이를 추진하고 촉진하는 핵심적인 수단이 ‘직능자격제도’라 할 수 있다. 이른바 ‘신경영기법’이라 불리는 다양한 경영 노무관리 개념(槪念)들이 자주 거론되기 스타트한 것도 87년 이후부터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인사관리 체제의 개편에 대한 노조의 대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노조의 교섭력에 중대한 악영향을 끼치는 현상은 이미 능력주의적 인사관리 제도를 도입한 국내의 몇몇 기업에서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능력주의적 인사관리제도가 노조의 참여나 적극적인 개입이 없이 기업의 일방적인 주도로 진행될 경우 이는 결국 생산현장에 대한 기업 측의 통제력만을 일방적으로 강화하고, 궁극적으로는 노조의 조직력과 교섭력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