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선업에서의현장권력을둘러싼노사갈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08:02
본문
Download : 한국조선업에서의현장권력을둘러싼노사갈등.hwp
자본은 이러한 현장권력의 이동을 하나의 위기상황으로 인식하고 이의 재탈환을 위한 여러 가지 제도와 measure(방안) 을 강구하고 있다 노동조합 역시 자본측의 이러한 기도에 저항하면서 현장권력의 유지를 위한 방법을 모색…(省略)
Download : 한국조선업에서의현장권력을둘러싼노사갈등.hwp( 34 )
설명






순서
한국조선업에서의현장권력을둘러싼노사갈등
한국조선업에서의현장권력을둘러싼노사갈등,인문사회,레포트
한국조선업에서의현장권력을둘러싼노사갈등 , 한국조선업에서의현장권력을둘러싼노사갈등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조선업에서의현장권력을둘러싼노사갈등
다.
1987년의 노동자대투쟁과 그에 따른 노동조합의 설립 이후 사태는 일변한다 . 조선산업 노동조합은 한국 노동운동의 전위적 key point(핵심) 으로 떠올라 강력한 투쟁력을 발휘하였고, 이에 따라 급속한 임금상승, 근로조건의 改善과 더불어 현장권력 역시 상당 부분 노동자, 노동조합의 통제하에 들어갔다.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조선업에서의현장권력을둘러싼노사갈등
한국 조선업에서의 현장권력을 둘러싼 노사갈등
- 현대중공업의 example(사례) 연구
윤 진호(인하대 경제통상학부 교수)
1. 머리말
한국의 조선산업은 짧은 기간내에 경이적인 성장을 계속하여 세계의 주목을 받아 왔다. 1987년의 노동자대투쟁 이전까지는 조선산업에서의 노동자 관리방식은 ?병영적 통제?로 특징지어진다. 이 시기의 노동통제는 저임금, 장시간 노동, 현장관리자의 직접적, 비인격적, 전근대적 통제 등을 그 특징으로 하였고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의 결성마저 불가능한 상태에서 무권리 상태로 남아 있었다.1)
한국 조선업이 이처럼 짧은 기간내에 비약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요인에 상대하여는 국제시장구조의 change(변화), government 의 적극적 지원정책 등의 요인도 있지만 가장 결정적인 것은 비용경쟁력과 선박인도기간의 단축이며, 그 중에서도 日本 에 비교한 상대적 저임금과 장시간노동이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
따라서 조선산업에서는 노동력의 조직적 동원과 관리능력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1975년에 불과 61만 G/T의 건조량으로 세계시장점(長點)유율 1.2%에 불과했던 한국의 조선업은 1995년에는 541만 G/T의 건조량으로 세계시장점(長點)유율 24.9%를 차지하며 日本 (930만 G/T, 점유율 42.7%)에 이어 세계 2위의 조선산업국으로 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