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선언] 삼프로TV에서 도시 歷史를 전달하는 김시덕 교수의 서울에 대한 대표작에 대한 개인적인 감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09:14
본문
Download : [독후감] 서울 선언.docx
이 책은 그러한 저자의 오랜 시간 동안의 노력의 결과물입니다.
삼프로TV,김시덕,도시,서울,대서울,강남,청계천,조선,탐방,은평
이 은평 뉴타운의 들어선 지역도 원래는 신라 시대의 이름모를 서민들의 공동묘지였다고 합니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지역색이 많이 퇴색되었습니다. 모든 도시 개발이 서울의 ‘하위 호환’격으로 이루어지니 지역 도시가 서울에 비해 경제적인 부분을 제외하더라도 인구를 끌어들일 만한 매력도가 낮아지는 것이지요. 아무튼, 저자는 이처럼 우리가 잊고 살았던 서울의 역사를 찾아 서울의 구석구석을 탐방합니다. 전국 어디를 가도 비슷한 풍경과 건축 양식이 이어질 뿐이지요. 이는 아마 최근 서울 집중화의 또다른 원인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설명
서울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시이지만, 서울의 역사에 대해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을 찾기 쉽지 않습니다. 이는 비단 서울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도시 전체의 문제일 것입니다. 현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한옥은 기와집입니다. 도시로 몰려드는 인구를 수용하고자 독재정권은 개발논리를 앞세워 도시의 역사와 정체성과는 무관한 개발이 이어졌습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서울의 랜드마크들을 제외하더라도, 평범한 뒷골목에도 나름의 사연과 이야기가 숨겨 있습니다. 저자는 이에 대해 오히려 대단위 아파트 단지를 현대 한국의 자연스러운 모습이 될 것이며,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한옥 마을에 대해 유감을 표합니다. 전국 어디를 가도 비슷한 풍경과 건축 양식이 이어질 뿐이지요. 이는 아마 최근 서울 집중화의 또다른 요인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이는 비단 서울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도시 전체의 문제일 것입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서울 선언] 삼프로TV에서 도시 歷史를 전달하는 김시덕 교수의 서울에 대한 대표작에 대한 개인적인 감상
다. 거의 초기 상태에서부터 도시는 재건에 들어갔고, 그 동안 대한민국은 세계 유례없는 빠른 경제 발전을 이룩했습니다. 도시로 몰려드는 인구를 수용하고자 독재정권은 개발논리를 앞세워 도시의 歷史와 정체성과는 무관한 개발이 이어졌습니다.
제4장에서는 서울에서 최근의 도시 개발의 트렌드인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한옥 마을’로 개발되고 있는 은평 뉴타운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서울의 랜드마크들을 제외하더라도, 평범한 뒷골목에도 나름의 사연과 이야기가 숨겨 있습니다. 모든 도시 개발이 서울의 ‘하위 호환’격으로 이루어지니 지역 도시가 서울에 비해 경제적인 부분을 제외하더라도 인구를 끌어들일 만한 매력도가 낮아지는 것이지요.
순서
![[독후감] 서울 선언-562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2109/%5B%EB%8F%85%ED%9B%84%EA%B0%90%5D%20%EC%84%9C%EC%9A%B8%20%EC%84%A0%EC%96%B8-5620_01.jpg)
![[독후감] 서울 선언-562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2109/%5B%EB%8F%85%ED%9B%84%EA%B0%90%5D%20%EC%84%9C%EC%9A%B8%20%EC%84%A0%EC%96%B8-5620_02_.jpg)
![[독후감] 서울 선언-562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2109/%5B%EB%8F%85%ED%9B%84%EA%B0%90%5D%20%EC%84%9C%EC%9A%B8%20%EC%84%A0%EC%96%B8-5620_03_.jpg)
![[독후감] 서울 선언-5620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2109/%5B%EB%8F%85%ED%9B%84%EA%B0%90%5D%20%EC%84%9C%EC%9A%B8%20%EC%84%A0%EC%96%B8-5620_04_.jpg)
![[독후감] 서울 선언-5620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2109/%5B%EB%8F%85%ED%9B%84%EA%B0%90%5D%20%EC%84%9C%EC%9A%B8%20%EC%84%A0%EC%96%B8-5620_05_.jpg)
아무튼, 저자는 이처럼 우리가 잊고 살았던 서울의 歷史를 찾아 서울의 구석구석을 탐방합니다. 거의 초기 상태에서부터 도시는 재건에 들어갔고, 그 동안 대한민국은 세계 유례없는 빠른 경제 발전을 이룩했습니다. 잦은 외세의 침략과 일제의 식민통치, 그리고 6.25 전쟁을 겪으면서 대한민국의 많은 도시들이 황폐화되었습니다. 과연 이런 식으로 개발이 완료되면 미래엔 서울이 어떻게 기억되고 변모될 것인지에 대한 저자의 대답입니다. 아니, 관심조차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히려 우리 서민들의 주된 주거 형태인 초가집은 철저히 외면당하고 ‘한옥’으로 분류조차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조선’시대의 ‘양반’이 아니었다는 이유로 유적, 유물로 인정받지 못한 채 조선시대 양반들이 살던 형태의 인공적인 한옥마을로 개발됩니다. 그 어떤 대도시보다 재개발 수요가 많은 도시인만큼 훗날 사라질 풍경들을 대비해 저자는 서울 곳곳을 사진과 글로 기록하고 싶어합니다.
Download : [독후감] 서울 선언.docx( 80 )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단위 아파트 단지는 흉측하며, 한옥마을을 보면 일종의 로망을 느낍니다. 식민지 시대까지 일반 서민들은 평생 거주해보지도 못한 집의 형태입니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지역색이 많이 퇴색되었습니다. 잦은 외세의 침략과 일제의 식민통치, 그리고 6.25 전쟁을 겪으면서 대한민국의 많은 도시들이 황폐화되었습니다. 그 어떤 대도시보다 재개발 수요가 많은 도시인만큼 훗날 사라질 풍경들을 대비해 저자는 서울 곳곳을 사진과 글로 기록하고 싶어합니다. 이 책은 그러한 저자의 오랜 시간 동안의 노력의 결과물입니다. 이 점은 참 많은 생각이 드는 대목이었습니다. 아니, 관심조차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시이지만, 서울의 歷史에 대해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을 찾기 쉽지 않습니다. 어떤 것이 진정한 전통인지는 우리들의 취향에 따라 맞춤으로 정해집니다.